본문 바로가기
출산지원금 신청 방법 : 전국 지자체별 혜택 안내/광역시, 특별시 출산지원금 신청 및 혜택

"제주도 출산 지원금 2024: 최대 1,300만원 받는 꿀팁과 신청 방법"

by facilitatorY 2024. 6. 18.

안녕하세요, "Oh 쓸만한데"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제주도에 거주하는 예비 부모님들을 위한 필수 정보, 바로 제주도에서 제공하는 출산지원금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산지원금은 아이의 출생을 축하하며 부모님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제공되는 혜택입니다.

 
제주도에서는 국가(전국공통)의 출산지원 바우처인 "첫만남 이용권"과 더불어 제주도 만의 출산지원금 정책인 (해피아이) 프로그램을 운영중입니다. 이를 통해 둘째 아이를 제주도에서 출산하고, 출산지원제도의 기준을 충족시키면 최대 1300만원의 지원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아래 내용 잘 참고하시고, 반드시 출산전에 미리 해당 지자체 담당자와 상담하시어, 꼼꼼히 준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제주도의 출산지원금 제도

제주도는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출산지원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에 거주하는 예비 부모님들께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첫만남 이용권

지원대상: 출생아로서 출생신고 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주민등록상 생년월일로부터 1년이 초과되지 않은 출생아)

지원금액: 출생아 1명당 200만원 바우처 지원 (국민행복카드)

  •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부터는 첫째아 200만원, 둘째아 이상 출생아는 300만원 지급

신청기간: 생후 1년 이내 (아동의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

사용처: 유흥업소, 마사지 등 위생업종 (이미용실 제외), 레저업종, 사행업종, 성인용품 등 기타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에서 사용 가능

신청방법: 방문접수 (보건소/읍면), 온라인 (복지로, 정부24)

문의처: 복지가족국 복지정책과 ☎ 064-710-2872


제주도 출산지원금 (해피아이 정책)

지원대상:

  • 첫째아: 2021년 1월 1일 이후 첫째아를 출생(입양)한 부모로서, 출생일 기준 6개월 이전부터 제주특별자치도에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거주하는 부 또는 모
  • 둘째아 이상: 2021년 1월 1일 이후 둘째아 이상을 출생(입양)한 부모로서,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전부터 제주특별자치도에 주민등록상 주소를 두고 거주하는 부 또는 모
  • 입양아는 출생일로부터 48개월 이하인 아동에 한하며, 사회복지시설 등에 입소한 아동 등은 지원대상에서 제외
  • 거주기간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해당 요건을 충족한 날 이후부터 신청 가능

지원내용:

  • 첫째아: 50만원 (1회 지급)
  • 둘째아 이상: 1,000만원 (연 200만원 5년간 지급)
    • 무주택자인 경우 주거임차비 (1,400만원) 또는 육아지원금 (1,000만원) 중 선택 신청 가능

신청방법: 출생 후 1년 이내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문의처: 복지가족국 복지정책과 ☎ 064-710-2872

자세한 정보는 제주도 출산지원금 안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eju.go.kr/wel/woman/womanPolicy/childbirth.htm


TIP!

각 지자체별로 운영하는 출산지원금 제도와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신청 기간, 조건, 방법 등을 반드시 지자체에 전화 또는 방문을 통해 미리 확인하세요. 출산 전 미리 준비하셔서 모든 혜택을 놓치지 않고 최대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출산과 육아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는 계속해서 "Oh 쓸만한데" 블로그에서 확인하세요!

 

행복하고 건강한 출산을 기원합니다!


유용한 TIP2. 전국 228개의 다른 광역시도 지자체에서 시행중인 모든 출산지원 프로그램 및 신청 방법, 담당부서 연락처 등이 궁금하시면, 아래 "2024 전국출산지원금 총정리" 클릭하시면, 한 페이지에서 전국 모든 지자체의 2024년 출산 프로그램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2024 전국 출산지원금 총정리: 228개 지자체별 혜택 신청 방법 확인하기


자료출처 : 아이사랑종합포털, 제주시 홈페이지